홍어거리
영산포역사갤러리
일본인 근대가옥
죽전골목

1홍어거리
영산포는 홍어의 고장입니다. 예부터 귀한 손님에게 내 놓는 상에 꼭 올리거나 결혼식, 회갑, 초상 등 집안 대소사에서 빠지지 않는 음식입니다. 산해진미를 차려두어도 홍어가 빠지면 잔칫상으로 인정하지 않을 정도로 홍어를 높게 칩니다. 영산포 선창가 일대에는 홍어 전문점 30여곳이 성업중입니다. 톡쏘는 홍어에 잘 삶은 돼지고기와 묵은 김치를 곁들이면 유명한 홍어삼합이 됩니다.
2영산포역사갤러리
1908년 한국에 이주해 온 일본인들의 사업자금을 지원하는데 주력하였던 광주 농공은행 영산포 지점이 설립. 1918년 농공은행을 모체로 한 조선식산은행이 설립되면서 영산포 사람들은 이 건물을 '식산은행'이라 불렀다. 2012년 9월 나주시가 매입하여 영산포 역사를 한분에 볼 수 있는 역사 갤러리로 조성하였다. 영산포 역사갤러리는 고려시대 흑산도 사람들의 이주에서 시작되어 개항 이후 호남 3대 근대도시로 성장하고 영산강의 대표도시로 발전한 영산포의 역사와 변천과정을 알리고 공유하는 공간으로 2015년 개관했다.


3일본인 근대가옥
일제강점기 나주지역에서 가장 큰 지주였던 쿠로즈미 이타로가 살던 집이다. 1905년 영산포에 도착한 쿠로즈미는 1909년 영산포에서 제일가는 지주가 되었다. 또 조선가마니주식회사 사장, 다시수리조합장, 전남중앙영농자조합장 등 사업가로도 활동했다. 저택은 1935년경에 청기와와 모든 자재를 일본에서 가져와 지었다고 한다. 해방 후 선교사가 고아원으로 운영하였고, 1981년 개인이 매입해 주택으로 사용하였으며, 2009년 나주시가 매입하여 보존하고 있다.
4죽전골목
영산포 부근의 고즈넉한 분위기의 골목이다. 죽전골목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과거 땔감시장이 섰던 곳으로 나무 장사꾼들이 동이 트기 전부터 몰려들어 그들을 상대로 '죽'을 파는 집들이 생기면서 '죽전거리'라고 불리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