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암 나대용 연보
- 작성일
- 2022.07.01 09:31
- 등록자
- 문화예술과
- 조회수
- 296
첨부파일(1)
-
이미지 20220118_143602.jpg
57 hit/ 3.32 MB

「나대용 장군 약사(羅大用將軍略史)」
자 / 시망(試望), 호 / 체암(遞菴), 본관 / 금성(錦城)
□ 1세 : 1556년 (명종 11년) 7월 25일
전라남도 나주군 문평면 오룡리(오룡동) 472번지에서 탄생
※그때 당시는 문평이 거평으로 오롱리는 오롱굴로 불리웠음.
□ 6세 ~ 19세 : 1561년 ~ 1574년 (명종16년~선조7년)
향리 신동재에 설치된 사숙에서 학문 닦음
□ 20세 ~ 27세 : 1575년 ~ 1582년 (선조8년~동15년)
① 무과에 합격
② 왜구의 끈임 없는 행패에 분노, 거북선제작을 구상
③ 붓을 던져 버리고 , 무예수련과 거북선연구에 전념
□ 28세 ~ 31세 : 1583년 ~ 1586년 (선조20년~동23년)
훈련원 봉사 제수
□ 32세 ~ 35세 : 1587년 ~ 1590년 (선조20년 ~동23년)
① 훈련원 봉사 사직, 낙향하여 거북선 본격적 연구
② 오륜동앞 『방죽골』에서 거북선실험제작에 성공
□ 36세 : 1591년 (신묘, 선조 24년)
① 종제 나치용과 함께 전라좌수영 이순신 막하에 들어감
② 국난을 예측, 이에 대비한 거북선 및 무기제작 책임자 감조전선출남군병
군관이 됨
□ 37세 : 1592년 (임진, 선조 25년)
① 거북선 진수 발포실험 성공 (4월12일)
② 발포진장(만호·萬戶)에 임명됨 (4월12일)
③ 제1차 옥포승첩시 유군장으로 출전 적선2척 격파하고 공을 세움 (5월7일)
④ 제 2차 사천해전시 구국(救國)분전 적선 수척 대파하고 적탄에 중상 입음 (5월29일)
□ 38세 : 1593년 (선조 26년)
복병장이 되어 왜장 점탐병 “망고질지(亡古叱之)”를 생포심문, 적정탐지, 이순신
수사의 작전계획수립에 공헌 (11월3일)
□ 39세 : 1594년(선조 27년)
행 강진현감에 제수됨 (8월5일)
□ 40세 ~ 41세 : 1595년 ~ 1596년 (선조28년 ~동29년)
① 능구현감, 증주현감, 고성현감 연수
② 목민관으로 민생문재, 치안유지 등에 전력
□ 42세 : 1597년 (정유, 선조 30년)
① 이순신 통제사 모함으로 투옥, 동지들과 무고함을 호소 (2월)
② 명량대첩시 전선을 거북선으로 개장하여, 사상 유례없는 대승을 거둠 (9월16일)
□ 43세 : 1598년 (선조31년)
노량해전시 이순신 통제사를 도와 사력전 일등공로 세움 (11월18일)
□ 44세 ~ 50세 : 1599년 ~ 1605년 (선조32년~동38년)
① 남해헌령 제수(1599), 창선25척 창조(創造)(1600)
② 모친상(1601년), 연이어 부친상(1604년)
□ 51세 : 1606년 (선조39년)
① 삼도통제사 한효순 군관(軍官)
② 전후 해군재조정비 강화책, 창선 건조(建造)를 주장하는 상소문(上疏文)올림
(선조실록 권206)
□ 55세 : 1610년 (광해2년)
① 행 남해현령(통정대부)제수
② 해추선(쾌속선)고안 제조
□ 56세 : 1611년 (광해3년)
① 교동수사 제수
② 행 경기도군통어사 (종2품 가선대부)제수, 전상 후유증으로 부임 못함
□ 57세 : 1612년 (광해4년)
① 임란(壬亂)시의 탄환상처 재발, 향년57세로 별세(別世) (1월29일)
② 나주군 문평면 마전동 선영하에 예장(禮葬)
③ 배향 (기미·己未 철종 10년 1859)